시대별로 나눈 한국 애니메이션의 변천사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1-22 23:11
본문
Download : 시대별로 나눈 한국 애니메이션의 변천사.hwp
이러한 국내 극장가에 만화영화 붐이 생기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1991년 겨울, 월트디즈니사의 <인어공주>가 개봉되어 43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면서부터였다.
레포트/예체능
1. 극장 만화 영화의 태동기 (1960~1980) , 1)60년대 , 2)70년대, 2.세계 최대의 만화영화 하청기지(1980~1985), 3.자체 제작 TV 만화영화 시대 개막(1985~1990), 4.부활하는 한국 만화영화(1990~1992), 5.한국만화영화의 제작 붐(1992~1995), 6.한국만화영화의 잠재성 부활(1995~쾌속 진행중), filesize : 32K
애니메이션,애니,한국만화영화,만화영화,예체능,레포트
시대별로 나눈 한국 애니메이션의 변천사
설명






순서
1. 극장 만화 영화의 태동기 (1960~1980) , 1)60년대 , 2)70년대, 2.세계 최대의 만화영화 하청기지(1980~1985), 3.자체 제작 TV 만화영화 시대 개막(1985~1990), 4.부활하는 한국 만화영화(1990~1992), 5.한국만화영화의 제작 붐(1992~1995), 6.한국만화영화의 잠재성 부활(1995~쾌속 진행중), FileSize : 32K , 시대별로 나눈 한국 애니메이션의 변천사예체능레포트 , 애니메이션 애니 한국만화영화 만화영화
1. 극장 만화 영화의 태동기 (1960~1980)
1)60년대
2)70년대
2.세계 최대의 만화영화 하청기지(1980~1985)
3.자체 제작 TV 만화영화 시대 개막(1985~1990)
4.부활하는 한국 만화영화(1990~1992)
5.한국만화영화의 제작 붐(1992~1995)
6.한국만화영화의 잠재성 부활(1995~쾌속 진행중)
4.부활하는 한국 만화영화(1990~1992) -67년 당시 대한극장에서 개봉한 <홍길동>은 10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는 대 히트를 쳤다. 이러한 혼란을 틈타 음성적으로 유통되기 스타트한 日本 만화의 기습으로 한국의 만화시장이 초전박살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. 하지만 80년대 중반이후 극장에선 국내 창작 만화영화를 거의 만나 볼 수 없었고, 한국 만화영화의 동면기 동안에 해외 대작 만화영화들이 속속 국내 극장에서 개봉되었다. ▾80년대 후반 방송사들의 자각으로 국내 TV만화영화 시장은 의욕적인 새 출발을 할 수 있었지만 극장에선 김청기 감독 시대 이후의 국산 만화영화를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. 1993년 여름, 전혀 알려지지도 않았던<…(省略)
Download : 시대별로 나눈 한국 애니메이션의 변천사.hwp( 62 )
다. 또한 70년대를 주름잡았던 김청기 감독의 <로보트 태권V>시리즈는 日本 의 <마징가Z>신드롬을 꺾을 만큼 국산 만화영화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.